Developer, Jiyong Ki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eveloper, Jiyong Kim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Categories (29)
    • Development (6)
      • Algorithm (1)
      • Frontend (5)
      • Backend (0)
    • 자격증 (1)
      • SQLD (1)
      • 리눅스마스터 (0)
    • Information Technology (19)
      • Computer Science (14)
      • 기술 트렌드 (2)
      • Articles (1)
      • etc. (2)
    • 일상 (3)
      • 개발자의 일상 (3)

검색 레이어

Developer, Jiyong Ki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nformation Technology

  • 초연결사회 취약성 드러낸 MS발 역대급 IT 대란

    2024.07.21 by Developer, Jiyong Kim

  • The future of coding is no coding at all, 로우 코드/노 코드 플랫폼

    2024.07.21 by Developer, Jiyong Kim

  • [OOP] 클래스/객체/인스턴스 그리고 static 키워드

    2024.07.18 by Developer, Jiyong Kim

  •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Abstraction)란?

    2024.07.18 by Developer, Jiyong Kim

  • [클라우드] IaaS, PaaS, SaaS

    2024.07.15 by Developer, Jiyong Kim

  • JSON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2024.07.12 by Developer, Jiyong Kim

  • [인터넷 프로토콜] IPv4와 IPv6

    2024.07.04 by Developer, Jiyong Kim

  • [DB] DDL, DML, DCL의 개념과 예시

    2024.07.04 by Developer, Jiyong Kim

초연결사회 취약성 드러낸 MS발 역대급 IT 대란

[연합시론] 초연결사회 취약성 드러낸 MS발 역대급 IT 대란 [연합시론] 초연결사회 취약성 드러낸 MS발 역대급 IT 대란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 사태의 파장은 컸다. 지난 19일 발생한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세계 각국에서 항공과 통신, 방송, 금융, 의료 등 주요 산업과 서비스 분야의 운n.news.naver.com얼마 전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로 인해 전세계가 마비된 일이 있었다. 해당 사건으로 인한 국내 피해가 크지 않았고, 사이버테러나 정보 유출 사고가 아니었기에 망정이지, 초연결사회에서 필수 인프라 중 하나인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가 사회에 얼마나 큰 파장을 불러올 수 있는지 극명하게 볼 수 있는 사례였다. 먹통 원인으로는 미국의 사이버 보안 업체인 '크..

Information Technology/Articles 2024. 7. 21. 18:32

The future of coding is no coding at all, 로우 코드/노 코드 플랫폼

"The future of coding is no coding at all" The CEO of GitHub, which caters to coders, thinks automation will bring an end to traditional software programmingAutomation and machine learning could some day eliminate all the typing that goes in to developing software.www.businessinsider.comGitHub CEO인 Chirs Wanstrath는 깃허브 창립 10주년이 되던 2017년, 앞으로 GitHub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이야기 하며 이렇게 말했다. 코딩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오..

Information Technology/기술 트렌드 2024. 7. 21. 15:53

[OOP] 클래스/객체/인스턴스 그리고 static 키워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의 주요 키워드에 대해 살펴보자. OOP에 대한 내용은 이전에 포스팅하여 간단하게 다룬 적이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각각의 객체들을 통해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을 말한다. 다양한 레고 블록을 모아서 하나의 레고 완성품을 조립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예를jiyongkim.tistory.com 클래스(Class)란 객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틀 혹은 껍데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만들고자 하는 객체들의 공통점(특성이나 동작 등)을 모아서 추..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8. 15:41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Abstraction)란?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는 복잡한 데이터, 구조, 시스템 등에서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감추고 주요 개념과 기능만을 가려내 복잡도를 낮추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중요한 요소에 집중할 수 있고,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상화는 크게 데이터 추상화와 프로세스 추상화로 나뉜다. 데이터 추상화는 데이터들의 공통점을 모아 그것을 중심으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차, 트럭, 기차 등 객체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통해 탈 것이라는 클래스로 묶을 수 있다.// JavaScript에서의 데이터 추상화 예시// Vehicle이라는 추상 클래스 생성class Vehicle { constructor(make, model, year, color) { // 추상 클래스가 ..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8. 14:25

[클라우드] IaaS, PaaS, SaaS

클라우드 서비스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며, 각각 IaaS, PaaS, SaaS라고 한다. 각 모델을 자세히 알아보자.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인프라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Amazon Web Services (AWS) EC2,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GCP)와 같이 클라우드가 인프라만을 제공하는 형식이다. Node.js나 MariaDB 등을 개발자가 직접 설치해야하며,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아 유연성과 이식성이 높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Google App Engine, Microsoft Azure App Services,..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5. 21:58

JSON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Open API를 사용하는프로젝트를 여러 번 진행하면서, JSON.parse()와 JSON.stringify()를 정확히 이해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곤 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계속 Run을 해보면서 코드가 정상 작동 하는 것만 확인하면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직렬화와 역직렬화를 알아보기전에 JSON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 객체 문법' 정도로 해석된다. 이는 Python, Java, JavaScript 등 여러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쓰이며, 흔히 객체 형식으로 사용되지만, 배열, 문자열, 숫자, boolean, 그리고 null 값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2. 18:02

[인터넷 프로토콜] IPv4와 IPv6

IT 관련 시험이나 컴퓨터 지식을 공부하면 가장 자주 보이는 개념 중 하나가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이는 줄여서 IP라고도 하는데, 비전공자인 나에게 IP와 IP주소는 매우 헷갈리는 개념이었다. 오늘 제대로 알아보고 가도록 하자. 우선 IP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IP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통신 규칙과 절차를 말한다. 예컨대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고, 라우터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며, 최종 목적지에서 어떻게 도착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을 말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우리가 편지를 작성할 때 어떤 형태로 편지를 작성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발송해야 하며, 수신자가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칙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한편, IP 주소는 기기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달하..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4. 18:39

[DB] DDL, DML, DCL의 개념과 예시

DDL, DML, DC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데이터를 정의, 조작,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SQL 명령어 그룹이다. SQLD를 공부하면서 익힌 내용이긴 한데, 단순 암기로만 외워서 머리에 확실히 들어오지 않아 예시와 함께 제대로 이해하고자 포스팅 한다.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전체의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 삭제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주요 명령어: creat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생성alter : 테이블, 인덱스 수정drop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삭제 truncate : 테이블 초기화 DDL 사용 예시:--..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4. 00:0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Developer, Jiyong Kim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