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er, Jiyong Kim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eveloper, Jiyong Kim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Categories (29)
    • Development (6)
      • Algorithm (1)
      • Frontend (5)
      • Backend (0)
    • 자격증 (1)
      • SQLD (1)
      • 리눅스마스터 (0)
    • Information Technology (19)
      • Computer Science (14)
      • 기술 트렌드 (2)
      • Articles (1)
      • etc. (2)
    • 일상 (3)
      • 개발자의 일상 (3)

검색 레이어

Developer, Jiyong Kim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ategories

  • [Troubleshooting] WebSocket connection to 'ws://localhost:8080/ws/websocket' failed:

    2024.07.15 by Developer, Jiyong Kim

  • JSON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2024.07.12 by Developer, Jiyong Kim

  • [인터넷 프로토콜] IPv4와 IPv6

    2024.07.04 by Developer, Jiyong Kim

  • [DB] DDL, DML, DCL의 개념과 예시

    2024.07.04 by Developer, Jiyong Kim

  • LLM을 이용한 AI 코드 리뷰

    2024.07.02 by Developer, Jiyong Kim

  • [Git] git stash로 작업 임시 저장하기

    2024.07.02 by Developer, Jiyong Kim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다이어그램

    2024.07.01 by Developer, Jiyong Kim

  • [자료구조] 스택(Stack), 큐(Queue), 힙(Heap)

    2024.05.13 by Developer, Jiyong Kim

[Troubleshooting] WebSocket connection to 'ws://localhost:8080/ws/websocket' failed: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컬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는데, 꼭 서버에 올리기만 하면 아래와 같은 Websocket 에러가 발생했다. 심지어 Websocket을 쓰지도 않는데 말이다. 우선 Websocket을 쓰지도 않는데 Websocket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부터 알아보자. Create React App(CRA)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했건, Vite를 통해서 했건 둘 다 해당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그 이유는 바로 두 경우 모두 HMR(Hot Module Replacement)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HMR은 개발 중에 코드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하여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말하는데, CRA는 Webpack 번들러를 통해서, Vite는 자체 개발 서버를 통..

Development/Frontend 2024. 7. 15. 15:40

JSON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Open API를 사용하는프로젝트를 여러 번 진행하면서, JSON.parse()와 JSON.stringify()를 정확히 이해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곤 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계속 Run을 해보면서 코드가 정상 작동 하는 것만 확인하면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직렬화와 역직렬화를 알아보기전에 JSON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 객체 문법' 정도로 해석된다. 이는 Python, Java, JavaScript 등 여러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쓰이며, 흔히 객체 형식으로 사용되지만, 배열, 문자열, 숫자, boolean, 그리고 null 값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2. 18:02

[인터넷 프로토콜] IPv4와 IPv6

IT 관련 시험이나 컴퓨터 지식을 공부하면 가장 자주 보이는 개념 중 하나가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이는 줄여서 IP라고도 하는데, 비전공자인 나에게 IP와 IP주소는 매우 헷갈리는 개념이었다. 오늘 제대로 알아보고 가도록 하자. 우선 IP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IP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통신 규칙과 절차를 말한다. 예컨대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고, 라우터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며, 최종 목적지에서 어떻게 도착하는지를 규정하는 규칙을 말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우리가 편지를 작성할 때 어떤 형태로 편지를 작성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발송해야 하며, 수신자가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칙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한편, IP 주소는 기기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달하..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4. 18:39

[DB] DDL, DML, DCL의 개념과 예시

DDL, DML, DC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데이터를 정의, 조작,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SQL 명령어 그룹이다. SQLD를 공부하면서 익힌 내용이긴 한데, 단순 암기로만 외워서 머리에 확실히 들어오지 않아 예시와 함께 제대로 이해하고자 포스팅 한다.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전체의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 삭제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주요 명령어: creat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생성alter : 테이블, 인덱스 수정drop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삭제 truncate : 테이블 초기화 DDL 사용 예시:--..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4. 00:07

LLM을 이용한 AI 코드 리뷰

시간은 금이다: LLM을 이용한 AI 코드 리뷰 도입기( 출처: NAVER D2 ) LLM을 사용한 자동화 코드리뷰 후기(Github Copilot Chat)85%의 개발자가 코드 품질에 대한 향상을 느낌코드 리뷰 및 피드백에 대한 시간이 15% 향상됨88%의 개발자가 자동화 코드리뷰를 지속하고 싶다고 함네이버의 AI 코드리뷰 도입기24년 출시한 Meta의 Llama3 700B 모델 채택채택 이유: 오픈소스, 라이선스문제 없음,  15조 개의 Token으로 훈련됨, Tokenizer가 매우 커서 한정된 리소스로 실행시키기 적합하다고 판단코드 리뷰 기준Pre-condition Check: 함수나 메서드가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의 상태나 값의 범위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Runtime Error C..

Information Technology/기술 트렌드 2024. 7. 2. 14:18

[Git] git stash로 작업 임시 저장하기

git stash는 삭제하기는 아깝고 쓰기에는 아쉬운 상황에, 혹은 작업을 하다가 겹치는 파일에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stash는 트래킹 되고 있는 파일에만 적용 되며, 새로 생성한 파일은 stash로 관리할 수 없다는 것에 유의하자. git stash: commit이후로 변경된 모든 사항들이 stash 공간으로 이동git stash git stash save "message": 메시지와 함께 stash를 저장(commit 메시지랑 비슷한 개념)git stash save "work in process on feature signup" git stash list: 저장된 stash 확인하기(각 stash는 인덱스와 함 표시)git stash list// $ ..

Information Technology/etc. 2024. 7. 2. 12:10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다이어그램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다이어그램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이며, 특히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서화하는 데 유용하다. UML 다이어그램은 '구조'와 '행위'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구조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정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행위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동적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다이어그램은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구조 다이어그램- Class Diagram(클래스 다이어그램)- Object Diagram(객체 다이어그램)- Package Diagram(패키지 다이어그램)- Component Diagram(컴포넌트 다이어그램)- Deployment Diagram(..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7. 1. 15:31

[자료구조] 스택(Stack), 큐(Queue), 힙(Heap)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 자료구조를 공부하다보면 특히 스택(Stack), 큐(Queue), 힙(Heap)에 대해 많이 얘기를 듣게 된다. 그만큼 활용도가 높고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1. 스택(Stack) 스택은 "LIFO (Last In, First Out): 후입선출"의 원칙을 따르는 자료 구조로,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스택은 단어 뜻 그대로 쌓아진 물건을 생각하면 쉽다. 예를 들어 접시를 쌓아놓고 사용하면 맨 위에 있는 접시부터 꺼내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사용 예시: 웹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기능에서 스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해당 주소를 ..

Information Technology/Computer Science 2024. 5. 13. 00: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Developer, Jiyong Kim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